본문 바로가기

고급정보

OLED 번인 의외의 수리비용과 ABL 설정 끄는 방법



목차


    TV의 끝판왕 OLED TV, 가장 이상적이지만 번인 등의 문제로 많은 소비자들이 고민하는 제품. 21년도 현재 의의의 수리비용과 번인과 관련한 기능인 ALB(auto brightness limiter) 설정을 끄는 방법을 알아보자.

     

    OLED 번인 수리비용

    https://doldolnyaong.tistory.com/274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21년도 현재 OLED 번인 발생 시 패널 수리비용은 20만 원 정도이다. 많은 소비자들이 티비의 가격이 비싼 만큼 수리비용도 비쌀 거라고 추측했지만, 매년 티비 가격 또한 내려가고 있고 수리비용도 생각보다 비싸지 않다.

     

    이런 단점이 있는 티비라면 그냥 다른 종류의 티비를 사면 되는 거 아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OLED TV는 넘사벽인 티비이다. OLED TV 가 왜 그런지, 그리고 번인을 예방하고자 제조사에서 만든 설정인 ABL 설정에 대해서 소비자들의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다. 해당 설정을 끌 수 있는 방법까지 알아보았다.

     

    왜 다들 올레드 올레드(OLED TV) 하는가?

    우리에게 광고에서 접하게 된 명칭, 올레드가 더 친숙할지 모르겠다. 국내 가전의 양대산맥, 아니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세계의 양대산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성장한 자랑스러운 우리 기업이다. 기술적, 이론적으로 완벽한 기술의 올레드 티비를 삼성에서도 초반에 생산하려고 했으나, 대형화 양산에 실패하며 2013년 이후에는 LG에서만 대형 올레드 패널을 계속 생산하고 있다. 물론 2017년 이후에는 소니와 파나소닉도 올레드 티비를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대형 패널은 사실상 LG가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삼성은 QLED 최근에는 NEO QLED라는 이름으로 패널은 VA패널을 기반으로 한다. 쉽게 설명하면 LCD TV이다. 거기에 퀸텀닷 필름이라는 걸 덧 씌운 티비이기 때문에 사실상 LCD TV이다. 21년도에 LED 패널을 기반으로 한 QLED TV를 출시한다고 하나 현재까지는 그렇다. 

     

    OLED TV 는 LED 패널을 기반으로 소자 하나하나가 스스로 발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백그라운드에서 백라이트를 비추는 LCD TV와는 차원이 다른 방식이다. 해당 특성으로 인해 화소 단위로 빛이 제어가 가능하며, 높아야 5000:1 명암비를 가지고 있는 LCD 와는 달리 무한대 명함비를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야각, 주사율, 해상도 등 다른 방식의 디스플레이와도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훌륭하다. 

     

    올레드의 단점인 번인과 ABL(auto brightness limiter) 설정 끄는 법

     

    이렇게 완벽한 올레드에도 물론 단점이 존재한다. 비싸다. 기술력이 발전하고 생산량이 늘수록 가격이 내려가기 때문에 해가 거듭할수록 가격이 내려가고는 있지만, 삼성과 다른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아직 비싸긴 하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디스플레이의 방식을 생각하면 21년 현재 가격이 비싸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단점이 번인현상인데, 같은 화면을 계속 내보내면 잔상이 남는 현상이다. 예를 들면 게임이나 PC 화면 등이 될 수 있겠다. 삼성 또한 이런 면을 광고에서 저격하기도 하고, 거기에 맞서 엘지는 10년 패널 보상을 내세우는 때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 현재 올레드 티비의 무상 보증 기간은 2년이다. 해외 여러 언론들에서도 올레드 패널의 번인현상을 실험하는 기사나 논문들이 존재한다. 

     

    이런 번인을 예방하고자 제조사인 엘지에서 ABL 설정을 티비에 프로그래밍해놓은 것이다. 쉽게 설명하면 밝은 화면의 환경일수록 번인이 나타나기 쉽기 때문에 자동으로 밝기 조정을 해주는 기능이다. 하지만 실사용자들은 이 기능 때문에 화면을 볼 때에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하지만 제조사는 설정에서 이 기능을 온오프 할 수 있게 해놓지 않았다. 사실 일반 영상을 볼 때에 체감을 하기는 힘들고, PC 화면 등으로 사용할 때에 많이 느껴진다고 한다.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온오프 기능을 넣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명암비를 80 이하로 낮추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고 하니 참고 바란다.

     

    결론

    올레드 티비도 나온 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다. 번인 현상도 여러 기사와 논문들의 결론을 보면 일반적인 시청환경에서는 크게 문제 될 것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문제가 발생해도 수리비 역시 큰 문젯거리가 아니다. 또한 현재 21년도의 티비 가격도 크게 단점으로 작용하지 않아 보인다. 

     

    OLED48CXKNB 지금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중급형 OLED TV)

     

    OLED48CXKNB 지금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중급형 OLED TV)

    가성비 1위 TV이면서 압도적인 판매량을 기록 중인 OLED48CXKNB LG전자 중급형 OLED TV, 지금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와 다른 TV와 비교했을 때 장점과 특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나와 티비 전체 1위

    segojung.tistory.com